K-컬쳐, 글로벌 소프트 파워의 새로운 미래. 주영한국문화원,「K-컬쳐 포럼: 헤드라인 너머」개최

- 영국 주요 20개 언론 분석 기반‘2025 한국 문화 트렌드’발표 - 문화·경제·언론을 잇는 융복합 포럼으로 한-영 차세대 교류 확장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 이하 문화원)은 10월 24일(금) 런던에서 ‘K-컬쳐 포럼: 헤드라인 너머(K-Culture Forum: Beyond the Headlines)’를 개최한다. BBC와 파이낸셜 타임즈 등 세계적 위상을 지닌 영국 주요 20개 언론의 K-컬처 관련 기사를 분석해 도출한 ‘2025년 한국 문화 트렌드’를 발표하고, K-소프트 파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ㅇ 이번 포럼은 한국문화의 글로벌 소프트 파워에 대해 K-콘텐츠와 K-푸드를 중심으로 한류의 최전선을 이끌어온 전문가들이 강연과 토론을 진행한다. 이후 경제·문화·언론·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한-영 전문가와 차세대 리더들이 참여해 심도 있는 교류와 담론의 장을 형성한다.
□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 “한국 글로벌 소프트 파워의 힘은 디지털 시대에 확장된 한류와 한국 문화의 특이점들이 연결되는 한국 미학에 있습니다. 인간이 마음껏 뜻을 펼치게 하는 인본주의적 가치가 그 핵심이며, 바로 그것이 K-컬처가 세계로 나아가는 원동력입니다. 한국 문화의 가치 자체가 곧 근본입니다.” 라고 포럼의 의의를 강조했다.
□ 1부 ‘K-이니셔티브와 문화예술’에서는 K-이니셔티브의 영국 전략을 소개하고, 한류의 확장 가능성을 다각도로 탐색한다.
ㅇ 주영한국문화원장 선승혜는 영국 언론의 한국 관련 기사들을 분석하고, 영국에서 ‘커넥트 코리아’와 ‘한국 문화, 지금!’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소프트파워의 강점과 K-컬처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한다. 또한 영국 언론이 다룬 한국 기사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영국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 문화예술 콘텐츠의 수출 진흥을 지원하기 위한 ‘K-이니셔티브’ 문화 전략을 소개한다.
ㅇ 이어 주영한국문화원 홍보팀은 BBC, 파이낸셜타임즈, 이코노미스트 등 영국 주요 언론 20개 매체가 발간한 한국 문화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한국 문화 트렌드’를 공개한다. 분야별, 주제별 키워드를 정리해 영국 내에서 주목받는 한류의 흐름을 조명하고, 한국 산업이 진출할 수 있는 부분을 제안한다. 또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한국 전통 장 (sauce)’ 문화, ‘달팽이 세럼, K-뷰티템’ 등 주목해야 하는 ‘영국 문화원 PICKs’도 발표한다.
□ 2부 ‘K-컬쳐 패널토론’에서는 2025년 보도량 1위 분야인 ‘K-콘텐츠’와 전년 대비 보도 증가율 1위 분야인 ‘K-푸드’를 주제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차세대들이 토론을 펼친다.
ㅇ ▲넷플릭스 시청 1위, 영국 오피셜 차트 OST 1위를 기록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기사를 작성한 BBC 이윤녕 기자 ▲영국 내 한국 음식 열풍을 일으킨 비비고 CJ 푸드 세일즈의 한지수 법인장 ▲만다린 오리엔탈 런던 메이페어에서 한국 파인 다이닝 ‘솜씨’ 레스토랑으로 이름을 알린 김지훈 셰프 등이 참여한다.
□ 3부에서는 한국과 영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오픈 포럼’이 열린다. 국내외 콘텐츠 및 푸드 업계 관계자, 문화외교 전문가, 언론인 등 다양한 참가자들은 한국 문화 수출의 확장 전략을 논의하며 미래 협력 방향을 모색한다.
□ 이번 포럼은 한국 문화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K-이니셔티브’의 비전으로 문화적 전환점이 될 순간임을 예고한다. 주영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영국과 한국의 차세대 교류의 장을 확대하고, 한국 문화가 지속 가능하게 확장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