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 이하 문화원)은 6월 9일(월) 영국 왕립 예술 학회에서 ‘한국 문화 포럼 (K-Culture Forum)’을 개최한다. ‘빠르고, 대담하며, 활달하게’ 한국의 문화적 미래를 축하하고, 변화의 시대에 K-소프트 파워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이번 ‘한국 문화 포럼’에서는 한류의 최전선을 이끌어온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을 진행한다. 이후 경제, 문화, 예술, 컨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과 차세대 리더들이 모여 담론의 장을 형성한다.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 “문화는 시대의 불확실성을 새로운 가능성으로 바꾸어 낼 것입니다. 한국 소프트 파워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시대의 문화유산을 창의력으로 활성화시키며, 디지털 시대에 과감하게 나아가는 한류의 미래를 창의 산업 본국인 영국에서 소개합니다. 한국미학을 지금 여기에서 펼쳐 내고자 합니다.”라고 포럼의 의미를 강조했다.

1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는 어떻게 탄생하는가?’의 물음을 중심으로, 한류의 확장 가능성을 다각도에서 탐색한다.

주영한국문화원장 선승혜는 국제 무대의 문화외교 현장에서 쌓아온 경험과 디지털 미학의 시각을 바탕으로, 미래 문화유산 창조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한류와 소프트 파워의 변화 속 ‘한-영 수교 140주년’, ‘커넥트 코리아’, ‘한국 문화, 지금!’ 캠페인을 이끌어온 생생한 경험을 공유한다.

특히 한국은 디지털 문화시대에 ‘빠르고, 대담하며, 활달하게’ 회복력, 지속가능성, 창의력을 연결하여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디지털 문화를 주도할 것임을 주장한다. 디지털 상상력을 인본주의로 재생성하는 것에있어 한국이 맨 앞이며, 한국의 국보를 디지털 공공데이터와 확장현실(XR)을 활용하여 새로운 미래유산으로 탈바꿈시키는 한국미학의 저력을 소개한다.

핑크퐁 공동 창업자이자 ‘아기상어’ 열풍을 일으킨 이승규는 유튜브 조회수 글로벌 1위를 달성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를 사로잡은 K-콘텐츠 전략을 발표한다. 2024년 10월 유튜브 누적 조회수 1200억뷰를 달성한 후, 5000만 구독자에게만 주어지는 루비 버튼까지 섭렵한 경험을 나누고 디지털 문화 컨텐츠의 미래를 제시한다.

최초로 한국 철학으로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교수가 된 최도빈은 한국 철학과 비교 철학의 관점에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유산 창조에 한국 미학이 기여할 가능성을 조명한다.

2부에서는 토론에서 거론된 주제에 대한 담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국내외 문화 예술계 전문가, 컨텐츠 업계 관계자, 차세대 한류 리더 등 다양한 참가자들은 한국 문화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한다.

이번 포럼은 한국 문화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문화적 전환점이 될 순간임을 예고한다.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가능성이 국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통찰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