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한국문화원, 영국 왕립예술학회에서 <K-컬쳐 포럼> 대성황리 개최

- 새로운 미래의 문화유산은 경제,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K-컬쳐 - 한국 문화의 현 위치와 한류의 미래 논의, 100명 참여 토론의 장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 이하 문화원)은 6월 9일(월) 영국왕립예술 학회(Royal Society of Arts)에서 ‘K-컬쳐 포럼: 디지털로, 대담하고, 한국답게 (K-Culture Forum: Digitally, Boldly, Korean)’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한국 문화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했다.
ㅇ 영국 현지의 100여 명의 문화예술, 경제, 교육, 콘텐츠 분야의 전문가들과 차세대 리더들이 참여한 가운데, 빠르게 확대된 한류의 미래에 대한 예측과 확장성에 대한 뜨거운 담론의 장이 펼쳐졌다.
□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 “K-컬쳐란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이 만들어낸 새로운 시대의 문화유산으로서 ‘디지털로, 대담하고, 한국답게’ 제 뜻을 펼치는 문화로 정의하고자 합니다. ‘한국 문화, 지금!’ 캠페인을 통해 한국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주도하는 문화강국의 비전과 미학을 선보일 위치에 있습니다”라고 포럼의 취지를 강조했다.
□ 1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한국 문화는 어떻게 탄생하는가?’의 물음을 중심으로, 한류의 확장 가능성을 다각도에서 탐색했다.
ㅇ 주영한국문화원장 선승혜는 전 세계에서 한류가 확산할 수 있었던 배경을 한국 문화유산의 저변에 흐르며 마음과 마음을 잇는 '한국 미학의 정서적 유대감(emotional affinity)'에서 찾았다. 그는 이 정서적 유대감을 ‘포용성(inclusiveness)’으로 해석하였다. 마치 훈민정음이 각자의 뜻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한 정신처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힘이 포용성이라고 주장했다.
ㅇ 선승혜 원장은 디지털 시대의 K-컬처를 "정서적 연결을 통해 확장되는 포용성의 문화유산"으로 정의하였다. ‘포용성’을 통해 전통적 문화유산의 질문 ‘과거는 어떻게 현재에 도달했는가’와 디지털 시대의 화두 ‘지금과 미래는 어떻게 이어지는가’가 하나의 서사로 융합된다고 보았다. 디지털 시대의 한국 문화유산은 디지털 시대의 문명사를 새롭게 정의하는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ㅇ 국립중앙박물관의 국보들을 인공지능으로 다각적으로 해석하고, 디지털 실감콘텐츠로 재현하는 과정은 이러한 흐름을 구체화하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예컨대, ▲국립중앙박물관의 실감콘텐츠 ‘강산에 펼친 풍요로운 세상’ ▲VR로 구현한 반가사유상과 석굴암의 '깨달음에 이르는 마음의 여정',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서정적 정원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작업은 모두 한국 미학이 지닌 정서적 유대감과 포용성을 세계와 감정적으로 연결하는 사례로 제시했다.
ㅇ 핑크퐁 공동 창업자이자 ‘아기상어’ 열풍을 일으킨 이승규는 세계를 사로잡은 K-콘텐츠의 발전 궤적과 한류의 미래를 비즈니스 관점에서 발표했다. 유튜브 누적 조회수 1200억 뷰를 달성한 핑크퐁 컴퍼니의 전략으로는 ‘변주성(Variation)’, ‘확장성(Expansion)’, ‘혁신성(Exploration)’이 강조되었다. 한국 예술가들의 글로벌 진출 등으로 시작된 한류 1.0과 유튜브, 넷플릭스, 팬덤 플랫폼을 통해 K-팝, K-콘텐츠로 이어진 한류 2.0을 넘어 다음 한류의 모습을 조망했다. 또한 이승규는 6월 10일 케임브리지 대학의 아시아 및 중동 학부에서 주최하는 라종일 강연에서 경험을 발표하여 영국의 우수한 차세대들과 직접 소통할 예정이다.
ㅇ 최초로 한국 철학으로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의 교수가 된 최도빈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설적 역동성’을 주장했다. 한국 대중문화는 보편적 가치와 이상을 추구하여 얻게 되는 ‘공감’과 독특한 ‘개별성’을 동시에 보유함으로써 세계 관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였음을 강조했다. 두 측면을 자유롭게 강조하되, 한국 문화 매력의 핵심은 자유, 평등, 정의,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적 가치의 특수한 구현을 향해 일관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ㅇ 1부 모더레이터를 맡은 前 BBC 코리아 편집장 황수민은 “한류가 지금처럼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디지털 시대 속 한류가 새로운 질문과 도전에 직면해 있는 때에, 'K-컬쳐 포럼'으로 다각도의 시각에서 한국 문화가 가진 잠재력과 혁신 가능성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생각합니다.’ 라며 포럼의 의미를 강조했다.
□ 2부 오픈 포럼에서는 토론에서 거론된 주제에 대한 담론이 이어졌다. 국내외 문화 예술계 전문가, 콘텐츠 업계 관계자, 차세대 한류 리더 등 다양한 참가자들은 ‘한류가 지속할 수 있는 이유’, ‘한국 문화가 가진 강점’ 등을 논의하며 한류의 미래를 논했다.
□ 3부 VR로 보는 한국 문화유산 특별체험 코너 <시간 풍경(Timescape)>로는 ‘몰입형 한국(Immersive Korea)’과 ‘성스러운 공간(Sacred Space)’을 선보였다.
ㅇ ‘몰입형 한국(Immersive Korea)’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협력으로 한국 문화유산의 실감 콘텐츠 VR 체험을 선보였다. ▲왕의 행차, 백성과 함께하다 ▲강산에 펼친 풍요로운 세상 ▲금강산에 오르다 등을 VR로 소개했다.
ㅇ ‘성스러운 공간(Sacred Space)’은 문화유산기술연구소와 협력으로 <VR 반가사유상: 한 개의 달, 천 개의 강>과 함께 해외 최초로 <VR 석굴암>을 선보였다. ▲<VR 석굴암>은 ‘하나는 모두, 모두는 하나(一卽多·多卽一, One is all, All is One)’의 세계관을 소개하며, 디지털 매체를 통해 관람자가 스스로 철학적 여정을 체험하고, 존재의 중심에서 보는 감각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경주는 올해 APEC이 열리는 도시로서 영국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받았다. ▲<VR 반가사유상: 한 개의 달, 천 개의 강>은 옥스퍼드 대학 한국의 날에 이어 높은 관심을 받았다. 잔잔한 수면은 명상과 사유의 상태를, 빛에 반사되어 일렁이는 파동은 진리에 다가가려는 자아의 흔들림을 은유적으로 담아냈다.
□ 이번 포럼은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가능성이 국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변화의 시대, 한국 문화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문화적 전환점이 될 순간임을 예고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컬쳐 포럼은 주영한국문화원 유튜브로 녹화본을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