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선보이는 매혹적인 한국 조각보

- 주영한국문화원 <창의교실> 한국 전통 조각보 워크숍 개최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이하 문화원)은 9월 26일(금) 도서관 프로젝트 <창의교실> 시리즈의 일환으로‘조각보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영국 시민들에게 한국 전통 조각보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조각보는 작은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완성을 이루는 예술입니다. 하나는 모두를 담고, 모두는 하나로 이어지는 한국미학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새로운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에서는 ‘패치(Patch)’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번 조각보 워크숍은 두 문화가 만나 창의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라고 행사의 의미를 밝혔다.
□‘조각보 워크숍’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한국 전통문화와 역사 속에 담긴 창의성을 재미있게 배우는 워크숍 형태로 진행된다. 최혜경 강사와 함께하는‘조각보 워크숍’시간에는 조각보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고, 강사와의 대담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와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 특히 조각보가 한국 전통문화와 역사를 상징하는 예술임을 강조하며, 참가자들은 직접 조각보를 만들며 그 의미를 되새기고 한국 전통 역사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체험활동 후 완성한 조각보 작품을 전시를 통해 함께 감상하며 한국 전통문화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 특히 이번 워크숍은 영국의 전통 패치워크(Patchwork)와 한국의 조각보를 비교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영국의 패치워크는 중세 시대 절약과 재활용의 지혜에서 비롯되어, 산업혁명 이후 대중화되었고, 육각형 조각을 잇는 ‘영국식 페이퍼 피싱(English Paper Piecing)’기법으로 대표된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에 여성 공동체 활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예술적 표현으로 확장되었다. 한국의 조각보는 남은 천을 활용해 색과 형태의 조화를 통해 독창적 미학을 창조해낸 문화유산이다. 작은 조각이 모여 큰 하나를 이루는 철학은 한국과 영국 모두의 전통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 주영한문화원은 <창의교실>로 영국 현지에 다양한 행사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와 역사를 알리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문화로 영국시민들과 밀착하여 새로운 미래와 화두를 제시할 수 있는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